반응형
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250x250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swiper
- html
- scrollY
- input
- insertAdjacentHTML
- swiperjs
- JavaScript
- Animation
- ADsP
- Hover
- pointermove
- 애니메이션
- NodeList
- SQLD
- For
- React
- scrollevent
- scroll
- localstorage
- forEach
- 이벤트리스너
- classList
- css
- getBoundingClientRect
- 스크롤
- 가로스크롤
- Sticky
- 반복문
- mousemove
- addEventListener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props (1)
ZeroToHunnit Coding
[React] 3일차 일기
오늘은 이때까지 했던거 다시 복습하고 props라는걸 새로 공부했다. 이거는 몇 번을 다시 봤는데도 확실하게 머리에 들어오지 않아서 몇 번은 공부를 해야겠다. 1. 컴포넌트는 state와 다른 함수에서 쓰기 때문에 컴포넌트 안에서 state를 갖다 쓸 수 없다. 그럴 때 props를 쓰면 된다. 2. 자식 요소에 state를 전송하는 방법 1) 자식 컴포넌트안에 작명={state이름}을 써준다. state이름란에는 함수도 쓸 수 있음 2) 컴포넌트에 파라미터로 아무 이름이나 쓸 수 있지만 보통 props를 쓰기 때문에 파라미터 등록 후 props.작명을 써주면 state를 갖다 쓸 수 있다. 3. props는 부모 요소에서 자식 요소로만 쓸 수 있다. 반대로 자식 요소에서 부모 요소로, 컴포넌트에서 다른..
React 일기
2024. 1. 13. 22:49